이 시간은 언론미디어 정부보조금 현황과 언론의 허와 실을 알아본다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봅니다. 국민의 신뢰를 받고 자부심 넘치는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공정성 있는 정론직필이 대단히 바람직하다고 할 것입니다.
1. 언론 미디어의 역할
언론 미디어의 역할은 다양합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언론은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이슈에 대해 보도하고, 이를 대중에게 전달함으로써 대중의 이해를 돕고, 의견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언론은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제공하여 대중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이를 존중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언론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보도함으로써, 대중은 더욱 다양한 정보를 받을 수 있고, 개인적인 의견을 형성하고 대화하며,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언론은 대중의 이슈의식을 돕고, 공론화를 촉진하여 민주주의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합니다. 언론은 특히 검증된 정보를 제공하고, 거짓 정보를 걸러내는 등의 역할을 통해 대중의 사실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언론사 변천 과정
대한민국에서 대중적으로 활동한 최초의 언론은 1883년에 출판된 「백보(白報)」와 1894년에 발간된 「조선일보」입니다. 그 후, 1905년에는 「한성신문」, 1920년대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이 창간되어 대한민국의 언론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인해 언론 자유가 침탈되어 발전이 지체되기도 했습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이 창간되어 민주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이후 1980년대에는 현대적인 방송 시스템과 새로운 언론사들이 등장하면서 대한민국의 언론사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언론의 형태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는 뉴스 기사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들이 등장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개인이 뉴스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언론사도 새로운 도전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3. 언론과 정치의 상관관계
언론과 정치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치에 대한 언론 보도는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언론은 주로 정치적 이슈와 정치인들의 행보를 보도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논란을 일으킵니다.
정치인들은 언론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과 목소리를 대중들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론은 이를 대중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정치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언론은 대중들에게 정치적 이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정치적 입장을 형성하게 됩니다.
반면에, 정치적 성향을 가진 언론사들은 언론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대중들에게 알림으로써, 자신들의 정치적 성향에 부합하는 정치인들을 지지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언론이 정치적 입장을 형성하는 경우, 대중들은 보다 다양한 시각으로 정보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언론과 정치의 상관관계는 양날의 검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대중들에게 정치적 이슈와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더 나은 정치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적 성향을 강조함으로써, 대중들의 시각을 한쪽으로만 치우칠 수도 있으므로 언론은 자신들의 역할과 책임을 잘 인식하고, 대중들의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수용하면서 보도해야 합니다.
4. 언론 보도는 믿을만한가
언론 보도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보도 내용에 대한 자료나 출처를 확인하고, 그 자료나 출처가 믿을만한지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비교분석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뉴스 검증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언론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독립성, 중립성, 균형성, 공정성 등이 있습니다. 언론사가 독립성을 보장하는지, 정치적인 압력이나 이해관계가 없는지,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수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논리적이며 일관성 있는 보도를 제공하는지 등을 고려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언론 보도의 신뢰성은 개인의 선입견과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언론사의 보도를 비교하고, 자신만의 판단을 통해 믿을 만한 보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언론 기사의 허와 실
언론 기사는 많은 경우 사실이나 진실에 근거해서 작성됩니다. 그러나 언론사에서는 때로는 선입견이나 편향성, 그리고 의도적인 편집 등으로 인해 기사에 허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허위 보도'라고 합니다.
또한, 언론사는 대부분 이익과 권력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익과 권력에 따라 보도 방식이나 내용이 왜곡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편파 보도'라고도 합니다.
또한, 언론사에서는 대개 특정 이슈에 대해 너무 많은 관심을 가져 이슈를 과장하거나, 반대로 무시할 때도 있습니다. 이를 '과대 보도'와 '과소 보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언론 기사를 읽을 때에는 다양한 언론사에서의 보도를 비교하여 본인이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사실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출처를 활용하거나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6. 국민은 언론을 얼마나 신뢰하는가
대한민국의 언론 신뢰도 조사의 최근 10년간 추이입니다.
언론사 | 2021년 | 2017년 | 2013년 | 2009년 | 2005년 |
JTBC | 52.1% | 37.5% | 31.6% | 20.5% | - |
중앙일보 | 61.6% | 61.6% | 61.5% | 61.1% | 61.4% |
한겨레 | 60.7% | 54.8% | 48.7% | 42.7% | 46.3% |
경향신문 | 52.4% | 50.6% | 47.1% | 43.1% | 45.2% |
동아일보 | 52.7% | 48.8% | 45.5% | 43.0% | 47.5% |
조선일보 | 53.6% | 52.5% | 52.3% | 49.3% | 50.4% |
SBS | 43.8% | 43.9% | 43.4% | 43.0% | 42.2% |
MBC | 47.9% | 46.1% | 43.6% | 43.2% | 46.0% |
KBS | 45.7% | 45.1% | 45.3% | 45.4% | 47.1% |
YTN | 39.1% | 37.1% | 38.5% | 36.3% | - |
* 출처 :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년 '언론 신뢰도 조사' 보도자료 <언론사별 10년간 신뢰도 변화>
7. 언론이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 현황
대한민국 언론이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 현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연도별로 대한민국의 주요 언론사들이 정부로부터 받은 보조금 현황입니다.
( 단위 : 천 원)
언론사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KBS | 408,902,303 | 415,030,336 | 435,819,017 | 467,719,679 |
MBC | 238,035,830 | 253,031,978 | 249,055,996 | 257,315,396 |
YTN | 22,111,066 | 20,125,567 | 21,604,120 | 22,305,189 |
JTBC | 22,372,250 | 21,994,883 | 22,680,426 | 23,751,258 |
SBS | 23,789,518 | 25,064,514 | 28,038,138 | 30,565,452 |
조선일보 | 3,121,699 | 3,058,906 | 3,227,878 | 3,450,628 |
중앙일보 | 1,855,000 | 1,982,000 | 2,157,000 | 2,310,000 |
동아일보 | 1,555,846 | 1,633,206 | 1,605,616 | 1,719,648 |
한겨레 | 2,482,925 | 2,537,576 | 2,540,025 | 2,740,151 |
경향신문 | 1,682,315 | 1,803,000 | 1,905,000 | 2,055,000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KBS와 MBC가 가장 많은 보조금을 받았으며, 그 외에도 SBS, JTBC, 그리고 대표적인 언론사들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등도 보조금을 받고 있습니다.
8. 언론 미디어가 나아갈 길
대한민국 언론 미디어가 국민에게 더욱 신뢰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 독립성과 공정성 강화 : 언론 미디어는 독립적인 입장과 공정한 논조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언론의 소유 구조나 지적재산권, 광고 수익 등의 이해관계를 명확히 하고, 규정과 윤리에 따라 건전한 보도를 해야 합니다.
▶ 다양성과 대중성 확보 : 언론은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반영하여 대중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언론은 민주적인 의견 공유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며, 대중의 관심사와 니즈를 파악하고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신뢰성 강화 : 언론은 정확한 사실과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 등의 불확실한 정보와 구분되는 신뢰성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언론은 사실 확인과 근거 제시에 충실해야 하며, 선입견이나 인식의 편향을 배제하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 언론은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하고, 미디어 사용자의 이해도와 판단력을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언론은 복잡한 사회 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 자기 감시 체계 강화 : 언론은 자체적인 자기 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규제와 감시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언론은 민주주의적인 가치를 중시하며, 공개성과 투명성을 지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언론이 자신의 이권을 많이 내려놓는 만큼 국가의 미래는 밝습니다."
이상으로 언론 미디어에 대해 살펴보고 언론미디어 정부보조금 현황과 언론의 허와 실을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인간이 인문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와 가치는 무엇인가
이 시간에는 인간이 인문학을 왜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인문학은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및 언어 등 인간 경험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 다양한 학문 분야입니다
wealthymindset.tistory.com
독서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나의 인생책
인류는 역사시대를 거치면서 글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독서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면서 자신의 인생책을 정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입니다. 1. 독서를 통해 인간은 진보한다 o 독
wealthymindset.tistory.com
타임지(Time Magazine) 선정 최고의 영문 소설 100선
타임지(Time Magazine) 선정 최고의 영문 소설 100선
2005년에 타임지(Time Magazine)가 선정한 최고의 영어 소설 100권입니다. 이 소설은 독자와 학자는 물론 영어 문학의 풍부하고 다양한 환경을 접하고자 하는 모든 분들에게 귀중한 자료이며 삶의 원
wealthymindse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