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공위성 종류와 임무,세계 인공위성 보유 개수,초소형위성 스타링크

by life journey 2023. 6. 17.
반응형

인공위성은 로켓을 사용하여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져 주로 지구 둘레의 원 또는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비행하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체입니다. 이에 인공위성 종류와 임무, 세계 인공위성 보유 개수, 초소형 위성 스타링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인공위성 일반

2. 인공위성 종류와 임무

3. 세계 인공위성 보유 개수

4. 인간의 욕망으로 우주전쟁은 끝이 없다

5. 일론 머스크가 쏘아 올린 스타링크(Starlink)

 

 

1. 인공위성 일반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우리 별 1호로 1992년 8월 11일에 발사되었으며, 한국은 2020년 현재 인공위성을 22개를 보유한 국가로 세계에서 12번째로 많은 인공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은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이며 1957년 10월 4일에 발사되었습니다.

 

지금도 세계에서는 연간 150여 개의 인공위성이 발사되고, 50개국 이상이 운용하고 있으나 발사는 지리적 지형적인 영향으로 10여 개국에서 발사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발사된 인공위성은 현재 작동 중인 것과 수천 개의 인공위성은 그 임무를 다했다든가 전원소모, 운석 충돌, 고장 등으로 수명을 다 한 것은 폐기된 상태로 그 조각들과 함께 지구궤도 상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어떤 인공위성은 지구 궤도를 이탈하여 금성이나 달 주위를 공전하는 것도 있습니다.

 

 

 

2. 인공위성 종류와 임무

 

인공위성은 크게 관측위성, 통신위성, 탐사위성, 군사위성, 과학위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관측위성은 지구의 표면을 관측하는 위성으로, 기상위성, 해양위성, 지질위성 등이 있습니다.

      - 기상위성은 지구의 기상 현상을 관측하여 기상 예보에 사용됩니다.
      - 해양위성은 바다의 표면을 관측하여 해일, 태풍, 쓰나미 등의 자연재해를 예측하고, 해양 자원을 조사합니다.
     - 지질위성은 지구의 지질 구조를 관측하여 지진,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해를 예측하고, 자원 개발에 사용됩니다.


🟩 통신위성은 지상과 위성을 연결하는 위성으로, 전화, 인터넷, TV 방송 등에 사용됩니다.

     - 전화위성은 지상과 위성을 연결하여 전화를 걸고 받는 데 사용됩니다.
     - 인터넷위성은 지상과 위성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TV 방송위성은 지상과 위성을 연결하여 TV 방송을 송출합니다.


🟩 탐사위성은 다른 행성이나 위성을 탐사하는 위성으로, 우주개발에 사용됩니다.

     - 화성 탐사위성은 화성의 표면을 관측하여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조사합니다.
     - 달 탐사위성은 달의 표면을 관측하여 자원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 군사위성은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성으로, 통신, 감시, 정찰 등에 사용됩니다.
     - 통신위성은 군사 부대와 지휘 센터를 연결합니다.
     - 감시위성은 적의 군사 활동을 감시합니다.
     - 정찰위성은 적의 군사 시설을 정찰합니다.


🟩 과학위성은 과학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성으로, 우주, 지구, 태양계 등을 연구합니다.
     - 우주 탐사위성은 다른 행성이나 위성을 탐사합니다.
     - 지구 관측위성은 지구의 환경, 자원, 기상 등을 연구합니다.
     - 태양계 탐사위성은 태양계의 행성, 위성, 소행성 등을 연구합니다.

 

🟩 항법위성은 지상에서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성으로 GPS, GLONASS, Galileo, BeiDou 등이 있습니다.
     - GPS는 미국이 개발한 항법위성 시스템으로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GLONASS는 러시아가 개발한 항법위성 시스템으로 유럽과 아시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Galileo는 유럽이 개발한 항법위성 시스템으로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BeiDou는 중국이 개발한 항법위성 시스템으로 중국과 동아시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세계 인공위성 보유 개수

 

1958년까지 러시아와 미국이 가진 인공위성은 총6개 였으며, 2022년 7월 13,294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구 분 인공위성 개수
미국 4864
러시아 3626
일론 머스크 1483
중국 818
영국 657
일본 310
프랑스 136
인도 132
독일 102
유럽우주기구 102
캐나다 85
국제통신위성기구 60
룩셈부르크 56
이탈리아 55

* 위 자료는 유엔우주사무국(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을 참고하였으며, 인공위성을 비롯한 탐사선 등을 모두 포함한 2022년 7월을 기준을 한 것으로 보유량 순입니다.
* 인공위성의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종류와 목적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구를 둘러싼 인공위성
지구를 둘러싼 인공위성

 

 

4. 인간의 욕망으로 우주전쟁은 끝이 없다

 

인간은 끊임없이 탐험과 발전을 추구하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욕망은 지구를 넘어 우주로까지 이어졌고, 우주 개발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주 개발은 항상 평화로운 과정만은 아니었습니다. 강대국들은 우주 개발을 군사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해왔고, 그 결과 우주전쟁의 위험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주전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우주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지구로 떨어져 인명 피해와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우주 통신망과 위성 시스템이 파괴되면 지구의 생활에 큰 혼란이 야기될 것은 역사적으로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분명해졌습니다.

인간의 욕망으로 우주전쟁이 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우주 개발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미국을 비롯한 중국, 러시아, 영국, 인도 등 강대국들은 우주 개발을 군사 목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협약 등 신뢰를 보여줄 수 있는 특단의 협력이 있어야 하겠으며, 우주를 평화와 협력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인류는 우주전쟁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평화로운 우주 개발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5. 일론 머스크가 쏘아 올린 스타링크(Starlink)

 

스타링크(Starlink)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 X가 운영하는 저궤도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입니다. 스타링크는 지구 저궤도에 수천 개의 위성을 쏘아 올려, 위성을 통해 지구 전역에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초소형 위성(0.7 m×0.7 m×1m, 227kg)으로 1,500km 이하의 지구 저궤도까지 진입하고 지구 전체에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며,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2022년 2월 기준으로 스타링크는 1,200여 개의 위성을 쏘아 올렸고 1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습니다. 스타링크는 2023년 현재 활동하고 있는 위성은 3400대이며, 2027년까지 총 42,000개의 위성을 쏘아 올려 전 세계에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으로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인류가 쏘아 올린 인공위상의 5배에 해당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땅을 파서 매설하거나 지상을 통한 통신선으로 기지국을 건설하는 것보다 공중으로 위성을 거쳐 통신과 인터넷 서비스를 전 세계와 연결한다'는 것입니다. 

스타링크는 인류에게 인터넷이 없는 지역에도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으로 인류의 삶을 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타링크는 우주 쓰레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수천 개의 위성을 쏘아 올리기 때문에 우주에 많은 우주 쓰레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주 쓰레기는 다른 위성에 충돌하여 우주 탐사를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지구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것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마무리

 

"인간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것입니다."

"국가 간 전쟁과 경쟁이 인류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가져다줄 것인지 인류의 파멸을 가져올 것인지 아무도 모릅니다."

 

이상으로 인공위성 종류와 임무, 세계 인공위성 보유 개수, 초소형 위성  스타링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2050년 지구인의 생활 모습, 절망과 희망은 항상 공존한다

 

2050년 지구인의 생활 모습, 절망과 희망은 항상 공존한다

2050년 인류는 기후 변화, 자원 고갈, 빈부 격차 등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 이에 2050년 지구인의 생활 모습을 예상해 보고, 어느 시대에서나 절망과 희망은 항상 공존하며 인간이 슬기롭게 극복

wealthymindset.tistory.com

뉴럴링크(Neuralink), WITH A.I. 시대 도래 되돌릴 수 없다

 

뉴럴링크(Neuralink), WITH A.I. 시대 도래 되돌릴 수 없다

뉴럴링크는 뇌에 삽입할 수 있는 칩을 개발하여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인간이 컴퓨터와 더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고,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고 정신 능력을 향상하는

wealthymindset.tistory.com

빅데이터 의미, 생산량, 특징-지구원자수보다 비트수가 더 많아진다

 

빅데이터 의미,생산량,특징-지구원자수보다 비트수가 더 많아진다

빅데이터는 소셜 미디어, 디지털 기기 등 여러 분야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조직이 필요한 정보로 가공하여 운

wealthymindset.tistory.com

 

인류사에서의 혁명(Revolution)의 의미, 변천, 정치 경제의 미래

 

인류사에서의 혁명(Revolution)의 의미,변천,정치 경제의 미래

인류의 역사로 볼 때 인간 생활 변화에 큰 영향을 준 혁명(Revolution)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제부터 인간이 무엇을 추구하면서 나아가야 되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혁명(Revolution)

wealthymindset.tistory.com

위드에이아이(WITH A.I.) 인공지능 로봇과 공생한다

 

위드에이아이(WITH A.I.) 인공지능 로봇과 공생한다

이 시간에는 위드에이아이(WITH A.I.) 인공지능 로봇과 공생한다라는 주제로 생각해 보겠습니다. 현재는 위드에이아이(WITH A.I.)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단순 정보만을 전달하지 않고 대화의 상대가

wealthymindset.tistory.com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Starlink) 장점과 효과, 비용과 신청 방법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Starlink) 장점과 효과, 비용과 신청 방법

스타링크는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인 스페이스 X가 개발한 글로벌 위성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2015년에 사업을 시작하여 2023년 현재 3000여 개의 위성이 발사되었습니다. 이에 위성 인터넷 스타링

wealthymindse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