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간은 금융 사기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금융사기는 부정한 목적을 가지고 사람들을 속여 금융시스템을 악용하여 불법적으로 돈을 획득하거나, 이자 등의 이익을 불법적으로 얻는 행위입니다.
1. 금융 사기의 종류
금융 사기에는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 사기 : 거짓된 투자 기회를 제공하여 사람들로부터 돈을 받는 사기입니다.
2. 이중 계좌 사기 : 개인정보를 빼내어 돈을 횡령합니다.
3. 대출 사기 : 대출금을 받은 후, 상환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4. 보험 사기 : 가짜 사고나 질병을 주장하여 보험금을 받으려는 경우입니다.
5. 유쾌한 사기 : 사람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속임수를 부리는 것입니다.
6. 파산 사기 : 파산 위기에 있는 기업의 주식을 매입하여 가격이 오를 때 팔아 이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7. 외환 사기 : 외환 거래나 투자 기회를 제공하여 돈을 받습니다.
2. 금융사기 피해 현황
2021년 금융감독원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분야별 대한민국 금융 사기 피해 현황입니다.
구 분 | 피해액(억원) | 피해 건수 |
투자 사기 | 1,182 | 16,425 |
이중 계좌 사기 | 59 | 2,819 |
대출 사기 | 483 | 4,645 |
보험 사기 | 124 | 3,437 |
유쾌한 사기 | 65 | 22,471 |
파산 사기 | 667 | 839 |
외환 사기 | 98 | 380 |
3. 금융사기 피해 예방법
금융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분야별 대응 방법은
o 인터넷 금융
- 안전한 비밀번호 사용
- 공인인증서, OTP 등 보안기능 활용
- 유선 전화 등 안전한 인증 방법 사용
- 주의 깊은 클릭 습관 유지
o 모바일 금융
- 안전한 비밀번호 및 생체인증 사용
- 공인인증서, OTP 등 보안기능 활용
- 앱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등 안정성 확인
- 공인 와이파이 사용
o 카드 결제
- 안전한 카드 사용 습관 유지
- SMS 알림 서비스 등 이용
- 알 수 없는 전화번호로부터의 전화 및 메시지 의심
- 피싱사이트 방지 프로그램 등 이용
o 대출 및 보험
- 금융상품 이용 전 충분한 정보 수집 및 확인
- 불법 대출, 보험 가입 등 사기 조심
- 전문가의 조언 및 검토
o 주식 및 투자
- 정확한 정보 수집 및 분석
- 불필요한 대출 조심
- 모임상담 등 자금 위험 요소 조심
- 공식 웹사이트 확인 및 신뢰 가능한 중개인 이용
4. 금융사기 예방 안내문 예시
▷ 제공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범금융권 T/F 출범 회의 개최(2023. 2.27)를 실시하여 금융사기를 전 금융권과 공동 대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상으로 금융 사기 종류, 피해 현황, 피해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댓글